생활 인터넷정보

2018년 기준 중위소득 알아보는 방법

google 2017. 12. 27. 11:20
반응형

기준 중위소득 자료는 저소득층을 지원하는 여러가지 사업의 대상 기준을 정하는 척도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여기서는 2018년 기준 중위소득이 어떻게 변하였는지 살펴보고 자료를 볼 수 있는 사이트를 소개합니다.



기준 중위소득이란?

보건복지부장관이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 따라 중앙생활보장위원회의 심의와 의결을 거쳐 매년 7월 고시하는 국민 가구소득의 중간값을 말합니다.




이 지표는 국민의 최저생활 보장 및 자활을 돕는 목적으로, 기초생활보장의 급여 기준을 정하는 용도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즉 대한민국 가구당 평균소득을 기준으로 상대적 빈곤을 측정하는 용도로 활용되는 것입니다.


2015년과 2016년, 2017년의 지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2018년도 마찬가지로 최저임금 상승과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중위 임금이 조금 상승했습니다. 아래 표와 같습니다.



연도별 소득 증가는 4인가구를 기준으로 다음과 같습니다.



이 지표를 이용하여 대표적으로 복지로라는 보건복지부 사이트의 저소득층 혜택 기준을 알아볼 수 있습니다. 중위소득 30%, 40%, 50% 등 그 비율에 따라 정책 대상 기준이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자료를 보는 방법은 통계청 홈페이지를 접속하여 통합검색란에 '기준 중위소득'을 치거나 검색 포털 사이트에 검색하셔도 됩니다.



그러면 기준 중위소득 추이를 알아볼 수 있는 국가지표체계 사이트로 이동하게 되며 자세한 추이 상황을 알아볼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