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소프트웨어

컴퓨터 스크린샷 편집 및 저장하는 방법

google 2017. 4. 8. 13:05
반응형

컴퓨터 스크린샷 편집 및 저장하는 방법



인터넷을 하다가 필요한 사진을 발췌할 경우,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해 '이미지를 다른 이름으로 저장'을 클릭하면 간단하게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마우스 우클릭을 막아놓는 경우나 동영상 및 기타 프로그램을 캡쳐할 경우 스크린샷 기능을 써야 합니다. 스크린샷은 '스샷'으로 줄여쓰기도 합니다.


스크린샷 키는 보통 키보드 F12키 옆에 '프린트스크린(PrtSc) 키'를 뜻하며 키보드를 누르는 것만으로 현재 모니터상의 모든 화면이 클립보드라는 임시저장소에 저장됩니다.




예를 들어 곰플레이어에 재생되는 동영상을 스샷찍어 그림판으로 편집해 이미지 파일로 저장해 보겠습니다. 아래는 현재 모니터 상의 화면입니다.



현재 모니터상의 화면을 프린트스크린(PrtSc) 키를 눌러 찍습니다. 그리고나서 시작메뉴 - 보조프로그램 속에 있는 '그림판'을 실행해 줍니다.



※ 그림판이 보이지않을 경우 실행 단추를 바로 클릭하거나 윈도우키+'R'키를 눌러 실행창을 띄워 줍니다. 실행창에 'mspaint'라고 치면 아래와 같이 그림판이 실행됩니다. 



그림판에 컨트롤키(Ctrl) + 'v'키를 누르면 조금 전 스샷을 찍은 화면이 그대로 나타나게 됩니다.



스크린샷 화면이 너무 커서 그림판 면적을 넘게 되는데 양쪽에 바를 움직여 편집할 화면을 중앙에 위치시킵니다.



그 다음 아래 화면과 같이 선택을 클릭한 뒤 잘라낼 그림을 마우스로 드래그하여 영역을 표시합니다.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 '복사'를 클릭하거나 컨트롤키(Ctrl) + 'c'키를 눌러주면 선택영역만 클립보드에 저장되게 됩니다. 



다음으로 아래 화면과 같이 그림판의 메뉴 중 '새로 만들기'를 클릭하면 새로운 그림판이 실행됩니다. 



흰 바탕영역이 그림보다 클 경우 그림에 여백이 생길 수 있으니 그림판 양쪽 바를 움직여 양쪽 모서리에 보이는 아주 작은 흰색 네모상자를 누른채 드래그하여 흰 바탕영역을 작게 줄여줍니다.



※ 흰 바탕영역을 줄이는 크기는 선택한 그림보다 작은크기로 대충 줄입니다. 선택한 그림을 복사하게 되면 그림보다 작은 흰색 바탕은 보이지않게 됩니다.



아래 화면과 같이 줄여줍니다.



다음은 조금 전 복사한 이미지를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 '붙여넣기'를 클릭하거나 

컨트롤키(Ctrl) + 'v'키를 눌러 그림판으로 가져옵니다.



이대로 그림판 메뉴 중 '다른 이름으로 저장' - 'JPEG 그림' 을 클릭해 원하는 폴더에 저장하면 끝납니다. 저장할 때는 저장할 폴더를 만들거나 찾기쉬운 바탕화면 등을 지정한 뒤 파일이름을 쓰고 파일형식을 JPEG로 선택하여 저장버튼을 클릭하면 됩니다.



아래 화면과 같이 작업된 이미지가 저장된 폴더를 열어 클릭하게 되면 내가 찍은 화면의 일부분만 그림으로 저장된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이로써 스크린샷 편집 및 저장하는 방법을 마치겠습니다. 초보자들도 포토샵없이 그림판만으로 간단한 이미지 작업을 할 수 있어 다양한 곳에 활용할 수 있을 것입니다.




반응형